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2025년 금 시세와 다이아몬드 가격 변동, 지금 투자해도 될까?

by 김낙낙 2025. 4. 17.

2025년 금 시세와 다이아몬드 가격 변동, 지금 투자해도 될까?

최근 들어 금 시세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동시에 다이아몬드 시장도 미국의 관세 정책 영향으로 출렁이고 있는데요,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는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금값 전망과 다이아몬드 가격의 관세 영향을 친절하게 풀어보겠습니다.

1. 금값, 왜 이렇게 올랐을까?

2025년 들어 금값은 무섭게 오르고 있습니다. 4월 16일 기준, 국제 금 시세는 온스당 2,400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승의 배경에는 글로벌 경기 둔화, 중동 정세 불안, 달러 약세 등이 있습니다. 특히 최근 들어 미국 실업률이 오르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졌죠.

한경 보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올해 말 금값이 3,700달러까지 오를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인플레이션 리스크와 미중 무역갈등이 겹치면서 금은 단순한 귀금속이 아닌 ‘정치·경제 리스크 해지 자산’으로 다시 떠오르고 있습니다.

2. 금 투자, 지금 해도 괜찮을까?

‘이렇게 오른 금을 지금 사도 될까?’ 고민되시죠? 결론부터 말하면, 금 투자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다만 단기보다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금의 추가 상승 여력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ETF나 금 통장, 금 관련 주식에 분산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요즘은 모바일 앱으로 소액 금 투자도 가능하니, 입문자라면 금 통장부터 시작해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에요.

3. 다이아몬드 관세 영향…가격 급등 조짐?

한편, 미국 정부는 4월 초부터 중국산 다이아몬드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했습니다. 이 조치는 반도체, 배터리와 함께 고급 사치재에도 영향을 미치는 구조인데요. 다이아몬드 원석 및 가공품에 대해 최대 25%까지 관세가 매겨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흐름 때문에,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는 일부 다이아몬드 제품 가격이 10%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특히 고가의 주얼리 브랜드에서는 중국 외 지역 공급망 확보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투자용 다이아몬드도 이 영향에서 자유롭지 않겠죠.

4. 다이아몬드 투자, 어떻게 해야 할까?

다이아몬드는 희소성과 보관의 용이성 때문에 일부 고액 자산가들 사이에서 꾸준히 관심받는 자산입니다. 하지만 일반 투자자라면 단순히 가격이 오른다고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감정 인증이 된 투자용 다이아몬드를 선택하고 장기 보유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에는 온라인 플랫폼에서도 GIA 감정서를 갖춘 다이아몬드를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기 때문에, 충분한 정보를 수집한 뒤 신중히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세로 인한 단기 가격 상승도 있지만, 장기 수익성은 글로벌 소비 트렌드와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5. 금과 다이아몬드, 지금 어디에 투자할까?

요약하자면, 금은 단기 고점 우려는 있으나 글로벌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한 안정적인 피난처 역할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이아몬드는 관세 영향으로 단기 수요가 늘어날 수 있으나, 투자 접근은 더 신중해야 합니다. 결국 투자 목적에 따라 안전자산(금)과 대체자산(다이아몬드)을 적절히 나눠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미국의 관세 정책, 달러 흐름, 글로벌 경기 방향성 등을 주의 깊게 살펴보며 투자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기사: 한경 - “다이아몬드에 고율 관세 부과 시사…글로벌 시장 ‘출렁’” (2025.04.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