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트럼프발 대중 관세 강화와 글로벌 기술 · 에너지 시장의 격변: 투자 전략은?

by 김낙낙 2025. 4. 11.

DOW -2.50%     NASDAQ -4.31%     S&P -3.46%

 

 

트럼프발 대중 관세 강화와 글로벌 기술·에너지 시장의 격변: 투자 전략은?

1. 미국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45% 관세 부과와 기술주 하락

2025년 4월, 글로벌 시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중 무역정책 강화 발언으로 다시 한 번 요동치고 있다. 특히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최대 145%까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그의 강경한 태도는 전 세계 투자심리에 즉각적인 충격을 주었으며, 미국 기술주 전반에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나스닥 지수는 관세 우려로 2% 가까이 하락했으며,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 등 대형 기술주의 주가는 하루 만에 각각 3~5% 하락세를 기록했다. 특히 **엔비디아(NVIDIA)**는 대중국 AI칩 수출 규제 철회라는 호재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관세 정책 이슈로 혼조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판단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2. 엔비디아 CEO 젠슨 황과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및 AI 칩 수출 규제 철회

이번 수출 규제 철회는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이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약속하면서 이루어졌다. 이는 미국 정부가 자국 내 첨단 산업 인프라 구축을 촉진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되며, 인공지능 주식, 반도체 ETF, 데이터센터 인프라 투자에 대한 관심이 다시 고조되는 계기가 되었다.

 

3. 미국 국채 가격 폭락과 일본의 국채 매도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국채 가격 급락과 관련해 "중국이 아닌 일본의 대규모 매도"가 원인이라고 언급하며, 자국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해 일부 관세 조치의 90일 유예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단기적으로 투자심리를 안정시킬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국채시장 불안정성과 금리 변동성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4. 미국의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에 대한 5조 원대 대출 승인

미국 정부는 아프리카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에 약 6조 원(45억 달러) 규모의 대출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중국과 아프리카 내 에너지 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미국은 이를 통해 자국의 에너지 안보, 천연가스 공급망 다변화, 글로벌 원자재 확보 전략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한다.

 

전문가들은 지금이야말로 포트폴리오 재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입을 모은다. 관세와 금리, 외환 변동성이 동시에 커지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헷지펀드, 인컴형 ETF, 달러 강세 수혜주, 원자재 ETF 등에 분산투자하는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댓글